금의 종류 |
|
첨가물에 따른 분류 |
|
금은 경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종류의 금속들을 합금하여 가공된다, 금 합금을 만들 때 나타나는 금의 색은
은, 구리, 아연, 니켈, 팔라듐 등의 양과 용융온도, 비중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이 때 나타나는 색깔에 따라 합금의 이름을 붙이기도 한다.
이렇게 다른 재료를 넣어 단단해진 합금은 보석을 박아 장신구나 공예품으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치과용, 공업용 등 여러 용도에 사용된다.
|
|
금 합금 명 |
첨가물 |
색 깔 |
그린골드(green gold) |
은 |
청백색 |
레드골드(red gold) |
구리 |
붉은색 |
옐로우골드(yellow gold) |
은+구리 |
노란색 |
화이트골드(wihte gold) |
니켈 |
흰색 |
핑크골드(pink gold) |
은+구리+니켈+아연 |
핑크색 |
|
|
|
순도에 따른 분류 :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을 사용. |
|
금의 순도(품위)를 나타내는 단위는 캐럿(carat)을 쓴다. 이는 중동지역에서 나는 식물의 한 종류인 캐럽에서 유래했다. 캐럽은 콩과 세라토니아속에 속하는 나무열매로 그 꼬투리 하나의 무게가 1.25g이다. 이 무게를 기준으로 캐럿이라는 단위는 처음에 순도보다 무게를 측정하는 척도로 쓰였다. 말린 캐럽을 보통 어른의 손으로 한 손에 쥐면 24개가 잡히는데, 이것을 이용하여 금이나 소금 등 작고 가벼운 물건을 교환할 때 기준으로 삼았던 것이다. 순도가 가장 높은 99.99%의 순금을 24K라고 표시하는 것이 바로 여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
|
표시법
|
금의 함유량
|
특징
|
24K (순금, 또는 999금)
|
99.99%
|
실제 24K는 99.99%이지만, 'four nine'이라 하여 국제
금 시장 에서 순금으로 통용됨.
|
22K (916금)
|
91.66%
|
영국에서 가장 고급의 품질로 정해서 결혼반지로 사용하는 관습 있음. 인장강도 큼.
|
20K (833금)
|
83.33%
|
장신구에 주로 사용.
|
18K (750금)
|
75.0%
|
합금 중 가장 보편적인 고급품위로 사용. 색상, 경도, 강도, 내구성, 화학적기계적 성질 우수함.
|
14K (585금)
|
58.5%
|
탄성률이 우수해 보석장식품과 시계, 만년필 펜촉 재료로 쓰임. 치과용으로도 많이 사용.
|
12K (500금)
|
50.0%
|
대개 구리색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함.
|
10K (416금)
|
41.6%
|
대개 구리색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함.
|
9K (375금)
|
37.5%
|
대개 구리색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함.
|
8K (375금)
|
33.3%
|
대개 구리색을 나타내고 일반적으로 저 품위 합금으로 취급함.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