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렉트(스트레이트) 케이블 만들기
다이렉트 케이블의 용도는 허브에서 각 PC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입니다. 각각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이렉트 케이블은 양쪽이 똑같은 형태입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외워두면 좋습니다. 주주녹파파녹갈갈인데 중간에 줄무늬 배열만 어디인지 알아두면 잊지 않습니다.
<한쪽>
[줄무늬주황]-[주황색]-[녹색]-[파란색]-[줄무늬파란색]-[줄무늬녹색]-[줄무늬갈색]-[갈색]
<다른쪽>
[줄무늬주황]-[주황색]-[녹색]-[파란색]-[줄무늬파란색]-[줄무늬녹색]-[줄무늬갈색]-[갈색]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크로스 케이블 만들기
크로스 케이블은 이제 크로스 케이블은 초고속 전용선의 모뎀과 허브를 연결할 때나 허브와 라우터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한쪽>
[줄무늬주황]-[주황색]-[줄무늬녹색]-[파란색]-[줄무늬파란색]-[녹색]-[줄무늬갈색]-[갈색]
<다른쪽>
[줄무늬녹색]-[녹색]-[줄무늬주황]-[파란색]-[줄무늬파란색]-[주황색]-[줄무늬갈색]-[갈색]
원문출처 = http://www.nbinside.com/study/092-netlan2.htm
실제 제작 과정
케이블을 만드는 방법을 차례로 설명하였습니다.(그림을 누르면 크게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만들고자 하는 다이렉트나 크로스의 케이블 배열을 잘 살핍니다. 그림과 같습니다. 실 색상은 상관없이 양쪽 끝이 동일하게만 연결되면 되지만 표준사항으로 케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의 배열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케이블을 배선한 후에 양쪽에 부트캡을 끼워놓습니다. 부트캡은 어떤 라인이 몇 번 PC로 갔는지 색상이나 번호로 구분할 때 편리합니다. 부트캡은 거꾸로 끼우면 황당한 일이 발생하니 끼우는 방향은 넓은 구멍이 케이블 끝부분입니다. 탈피기(일명 껍데기 가위(?))로 표면을 벗겨냅니다. 적당히 끼우고 빙빙 돌리면 표피만 둥글게 까집니다. 가만..가만..표피만 둥글게 잘라낸다면??..오오~~이건 바로 남자들의 고래잡는 수술과 동일한 것은 아닌가요? (크오오옷~~ 리뷰 중에 이러한 생각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은 몇 사람 안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노트북인사이드 매니아가 아니면 나올 수 없는 엽기적인 상상^^;) 끝에서 2~4cm 정도되는 부분에서 하는게 적당합니다.표피를 벗길 때 내부선의 표피가 벗겨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벗겨낸 선을 곱게 하나씩 폅니다. 위의 그림대로 배열을 맞추면서 하나씩 곱게 폅니다. 곱게 편 다음에 하나씩 앞뒤로 꼭 잡고 약간 휘면서 구부리고 또 양 옆으로 트위스트하듯 펴면 케이블이 곧게 펴집니다. 그림처럼 케이블을 곧게 펴고 자를 부분을 결정합니다. 편 부분의 끝을 꼭 잡고 나머지 부분을 자릅니다. 표피가 벗겨진 부분의 전체 길이는 너무 길게 하지 말고 2cm 정도로 하는게 좋습니다. 케이블 배열이 맞았는가를 확인하고 RJ45잭에 밀어 넣습니다. 밀어 넣을 때는 정확하게 한쪽으로 밀리지 않게 양손으로 꼭 잡고 밀어 넣습니다. 끝이 구부러지면 망치게 되니 주의해서 해야 합니다. 정확하게 깊숙이 밀어 넣습니다. 끝이 닿을 때까지 밀어 넣습니다. 만사가 그렇듯이 삽입은 정확해야 행복한 결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으음..이 멘트는 이게 리뷰하고 상관있는 내용인가?) 끼운 부분을 RJ45잭을 찝어 주는 랜 툴에 낍니다. 이때 미심쩍으면 뽑아서 다시 배열을 맞춘 후 끼웁니다. 여기서 잘못 찍으면 다시 처음부터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선 끝을 꼭 잡고 끝까지 삽입합니다. RJ45잭이 끝까지 닿도록 끼웁니다. 랜 툴을 세게 눌러 끝까지 닿도록 합니다. 참고로 랜 툴 중에는 기어식으로 끝이 맞물리지 않으면 풀어지지 않는 기어식이 있는데 이런 툴을 쓰면 불량이 없이 만들 수 있습니다. 랜툴로 RJ45 잭을 찝고 난 후에 미리 끼워두었던 부트캡을 당겨서 씌웁니다. 요철처럼 파여진 부분이 윗부분으로 맞추어 밀어 넣습니다. 부트캡 밑에 연결될 PC의 번호나 사용자의 이름을 네임펜(공CD에 제목 쓸 때 써는 유성펜)으로 적어 놓습니다. 특히 부트캡은 색상이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그룹이나 작업그룹에 따라서 부트캡의 색상을 달리 해놓으면 잦은 자리이동 등으로 배선작업할 때 편리합니다. 완성된 케이블의 모습입니다.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은 선 배열만 빼고는 제작방법은 똑같습니다.